Archiving +, media wall projection mapping, 2021
Contents
- Project documentation
- Project note
목차
- 프로젝트 전시 영상
- 작업 노트
- Project documentation | 프로젝트 전시 영상
Archiving+, (2021). Taeheon Lee,
media wall projection mapping, mixed media, variable size,
Gwangju Cultural Foundation Media Art Residence 10th Anniversary Exhibition <Recovery>,
Gwangju, South Korea
"What is the meaning of media art archiving at the Gwangju Cultural Foundation Media Art Residence?"
"It is the compilation of the answers to the last residence artist's question, 'What is media art for me?' and the hashtags of their works."
"지난 10년 간의 레지던스 아티스트에게 ‘나에게 미디어아트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의 답과 자신의 작품의 해시태그를 취합했습니다."
- Project note | 작업 노트
'It is about thoughts on 'Then what does 'archiving' mean for citizens, audiences, writers, and foundations?'
<Archiving+> is created by the following keyword: #historicity #archiving #mediaart. The reasons for the project are 1) to look back at the 10th anniversary of Gwangju Cultural Foundation Media Art Residence, 2) to harmonize the broad and narrow meanings of media art, and 3)to find the reason for the convergence of art.
I would like to shed light on the fact that archiving, one of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is not only a mere accumulation of historical records but is itself a media art. Archiving refers to the operation of loading and managing/organisation files in a computer system. Since media art has a characteristic that cannot be limited in its form, archiving is indispensable for all foundation-residence-media artists. Hence, Gwangju Cultural Foundation Media Art Residence has produced many works and artists over the past 10 years, and the records are archived.
This interpretation led to the question, 'Then, what is Gwangju Cultural Foundation media art archiving for citizens and audiences?' I would answer it as 'the democratic character of media art'. The foundation's archives are open to the public both online and offline. Anyone can access it. Of course, the power of the 'aura' experience will be felt low.
However, because now that media art is having a major impact not only in the art field, but also in technology, convergence, and overall social and cultural fields, it has a great value of opportunities to directly or indirectly experience high-quality content.
I hope that the Gwangju Cultural Foundation make chemistry [Media Art Archiving] with [the value of the Gwangju spirit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peace'*] and treat it as future heritage.
'그렇다면 '아카이빙'은 시민, 관객, 작가 그리고 재단에 아카이빙이란 무슨 의미를 가질까?'에 대한 생각들'
<Archiving+>는 #역사성 #아카이빙 #미디어아트 라는 키워드 아래, 광주문화재단 - 1 )미디어아트 레지던스의 10주년의 기록을 돌아보기 위해, 2) 미디어 아트의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 간의 조화를 위해, 3) 예술과 기술의 융합에 대한 이유를 찾기 위해 제작되었다.
나는 미디어아트의 매체적 특징 중 하나인 아카이빙을, 단순한 역사적 기록 축적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미디어아트라는 점을 조명하려 한다. 아카이빙이란 컴퓨터 시스템에서 기록 보관소 내에 파일을 적재하고 관리하는 작업을 명칭 한다. 미디어아트는 형태를 제한할 수 없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재단-레지던스-미디어 아티스트 모두에게 아카이빙은 필수 불가결한 존재이다. 그렇기에, 광주문화재단 - 미디어아트 레지던스는 지난 10년간 많은 작업과 작가를 배출해냈고, 그 기록은 아카이빙되어 있다.
이러한 해석은 '그렇다면 시민, 관객에게 광주문화재단 미디어아트 아카이빙이란 무엇일까'라는 질문으로 이어졌다. 나는 그것을 '미디어아트의 민주적 성격'이라는 답을 내렸다. 재단의 아카이빙은 온/오프라인 공간에 공개되어있다. 누구나 그것에 접근할 수 있다. 물론 '아우라'적 직접 경험의 힘은 낮게 체감될 것이다. 그러나 미디어아트가 비단 예술 분야뿐만 아니라 기술과 융합 그리고 사회 문화 전반적인 부분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금, 작가의 고뇌를 담은 양질의 콘텐츠를 나이, 성별, 경제적 상황을 떠나 직간접적으로 경험 할 수 있다는 점은 큰 가치를 가진다.
나는 광주문화재단이 [미디어아트 아카이빙]과 ['민주', '인권', '평화'의 광주 정신이 지닌 가치*]를 융합시키고 미래 유산으로써 소중히 다뤄주기를 소망한다.